본문 바로가기

복잡해 보이는 펀드명, 이 글 하나면 해석이 쉬워집니다

부공살 2025. 1. 26.

복잡해 보이는 펀드명, 이 글 하나면 해석이 쉬워집니다

 

(작성일: 25.1.26)

 

주식에 관심을 가지면 당연히 펀드에도 관심을 가지실텐데요

 

키움글로벌5G차세대네트워크증권자투자신탁UH_C-Pe(주식)

한국투자글로벌전기차&배터리증권투자신탁C-Pe(주식)

 

어떠신가요?

앞부분은 대충 알겠는데 알파벳이 점점 나오면서 머리가 지끈거리시진 않으신가요?

도대체 뭐라는거야? 사라는 거야? 말라는거야?

 

처음 펀드를 구매하려고 들어갔을 때 제가 느낀 감정입니다...

 

제가 처음 펀드를 접했을때 느꼈던 경험들을 토대로

펀드의 구조가 어떻게 생겼으며 어떻게 해석하면 될지에 대해서 말씀드려보겠습니다.

펀드명 구조

키움글로벌5G차세대네트워크증권자투자신탁UH_C-Pe(주식)

한국투자글로벌전기차&배터리증권투자신탁C-Pe(주식)

 

위에 예시로 들었던 이 녀석들로 설명드려보겠습니다.

일단, 펀드의 구조는 이와 같습니다.

 

[운용사][상품특성][투자대상][투자지역][운용전략][펀드형태][클래스]

[운용사]

이 부분은 처음 접하는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회사명 즉, 이 펀드를 운용하는 회사입니다.

 

위의 예시라고 한다면 키움, 한국투자가 되는겁니다!

[상품특성]

이 펀드의 특성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제가 예시로 적은 것들은 다 증권인데요.

 

여기엔 증권, 부동산, 특별자산, 혼합자산, 인덱스 등이 들어갑니다. 

[투자대상]

이 펀드가 나타내는 투자대상을 나타내는 말로

예시로 보자면 맨 뒤 (주식) 이쪽을 보면됩니다.

 

주식, 채권, 혼합 이렇게 3가지가 있는데,

주식이라고 적힌 펀드는 주식에 60% 이상을 투자한다는 겁니다.

 

그럼 채권은? 네! 채권에 60% 이상을 투자한다는 거고

혼합형은 주식과 채권에 적절히 분산투자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투자지역]

이 부분도 간단합니다.

국내면 국내 시장에 투자한다는 거고

글로벌이면 말 그대로 전세계 시장에 투자한다는 내용입니다.

 

국내, 글로벌 말고도 아시아나 유럽 등 특정 지역이 적힌 펀드도 있습니다!

[운용전략]

이게 어떻게 보면 펀드의 핵심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위의 예시로 보면 5G차세대네트워크 / 전기차&배터리 인데요

이 펀드가 어디에 투자하겠다 라는 내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른 펀드들을 보면 성장(그로스), 가치, 배당, 테마 등등이 적혀있을거에요

[펀드형태]

말 그대로 펀드의 형태를 나타내는데요

투자신탁 / 자투자신탁 / 사모펀드 등이 있는데

 

대부분의 펀드는 투자신탁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클래스]

기준 클래스 특징 상세설명
판매수수료 기준 A 선취판매수수료가 있는 펀드 - 가입 시 수수료를 한 번에 지불
- 일반적으로 장기 투자 시 유리
C 선취판매수수료가 없는 펀드 - 가입 시 수수료가 없지만 연간 판매보수가 높음
- 단기 투자 시 고려 가능
판매채널 기준 E 온라인 전용 - 온라인으로만 가입 가능
- 판매보수가 상대적으로 저렴
S 펀드슈퍼마켓 전용 - 펀드슈퍼마켓에서만 가입가능
- 후취판매수수료 부과(일정기간 이우 없어짐)
투자자격 기준 P 연금저축 전용 - 연금저축용으로만 가입 가능
- 세제혜택 있음
I 기관투자자 전용 - 일정 금액 이상 투자 필요
- 보수가 가장 저렴

 

 

초반에 말씀드린 알파벳이 이부분인데요 ㅎㅎ;

이 부분이 가장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울 거라고 생각이 드는데

C-Pe: 선취판매 수수료 없는 연금저축 온라인용

 

이 정도로 파악하시면 되는데요!

 

펀드를 고를 때 클래스에서는 투자기간 / 투자금액 / 가입목적 / 거래채널 를 고려하여

제가 첨부한 표를 같이 보면서 해석하시고 본인에 상황에 맞는 펀드를 고르시면 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