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왕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주식 기초 용어 | 무상증자

부공살 2025. 1. 25.

왕초보도-쉽게-이해하는-주식-기초-용어-무상증자

 

(작성일: 25.01.25)

 

주식, 아직도 제대로 공부하지도 않고 사십니까?

저처럼 후회하는 분이 단 한 분이라도 없길 바라는 마음으로 작성합니다!

 

혹여나 알고있는 단어라도 한 번 다시 복습한다는 마음으로

편한 마음으로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최근 제가 가지고 있는 주식이 무상증자를 했습니다.

대략 어떤 내용인지는 알고있지만,

이번 기회에 제대로 된 개념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무상증자란? 

기업이 주주들에게 추가로 드는 비용 없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해서 나눠주는걸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삼성전자를 100주 가지고 있고 1주당 5만원이라고 해봅시다.

1:1 무상증자가 되면 200개의 주식을 가지게 되면서 1주당 2만5천원이 되는겁니다.

 

무상증자는 공짜로 주식을 더 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기존에 보유한 주식을 잘게 쪼개는 것과 동일합니다.

주요 특징 및 목적

  • 1주당 가치 변화: 주식수가 증가하니 아무래도 1주당 가지는 가치는 떨어집니다.
  • 주주 부담 없음: 추가 비용 없이 새로운 주식을 받습니다.
  • 재무구조 개선: 자본금을 증가시킴으로써 기업의 신용도를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 유동성 개선: 주식수가 늘어나니 기존보다 거래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주주가치 제고: 1주당 가격이 떨어지므로 기존보다 투자자들의 접근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기업입장에서는 무상증자를 하는 목적이 정말 뚜렷하게 보이는 것 같습니다.

신규 투자자를 유입시켜 거래를 활성화 시키고 자본금을 증가시키니 안정성과 신용도도 올라가겠구요.

 

하지만 기존 투자자인 제 입장에서 본다면 무상증자가 무조건 좋은 거라는 생각은 들지 않네요.

왜냐하면 기업의 가치는 변하는 게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일시적으로는 좋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결국 기업이 얼마나 가치가 있느냐가 중요해보입니다.

무상증자 과정

  1. 이사회에서 무상증자 결정
  2. 주주총회 승인
  3. 신주배정 기준일 공시
  4. 신주 배정 및 상장

무상증자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면 위와 같습니다.

 

저도 최근에 들고있는 주식이 기준일까지 보유한 주주들에게 1:1 무상증자 고지를 했는데요.

고지하는 순간부터 기준일까지 가격이 오르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모든 주식이 그러진 않겠지만 목적으로만 봤을땐 왠만하면 오를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장점과 단점

장점 단점
주식 유동성 개선 실질적 기업가치는 변하지 않음
재무구조 개선 단기 주가 변동성 증가
주주 비용 부담 없음 증자 후 주가 하락 가능성

📌 무상증자 후 주가 하락하는 주요 원인

  • 기술적 조정: 발행주식 수 증가로 인한 주가의 자연스러운 하락
  • 심리적 요인: 투자자들의 단기 매도 압력 증가
  • 수급 불균형: 늘어난 유통 주식수로 인한 일시적인 수급 불균형 발생

제가 보유한 주식도 최근에 무상증자가 이루어지면서

증자 후 -10%에 가까운 하락을 보여주었는데요.

 

솔직히 주가가 하락하는 이유는 심리적인 요인 말고는 크게 공감이 가지 않습니다.

 

기존 거래량보다 당연히 거래는 많아질 것 같고

기업의 가치에 따라서 해당 주식을 더 사고싶은 사람이 많다면

늘어난 주식 수만큼 가격이 떨어졌을테니 매수하려는 사람이 더 많을테고 

반대라면 매도하는 사람이 더 많을테니 기업에 따라 다를 수 있겠다는 결론입니다.

유의사항

제가 경험한 무상증자는 기업의 가치마다 물론 다르겠지만

공시 이후 주가가 단기적으로 상승할 수 있지만 무상증자 이후에는 일시적으로 하락할 수 있다

 

즉, 무상증자라는 이유만으로 투자를 결정하는 것을 위험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결국 투자 결정 시에는 항상 기업의 가치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감사합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왕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주식 기초 용어 | 유상증자

(작성일: 25.01.25) 주식, 아직도 제대로 공부하지도 않고 사십니까?저처럼 후회하는 분이 단 한 분이라도 없길 바라는 마음으로 작성합니다! 혹여나 알고 있는 단어라도 한 번 다시 복습한다는

gongsal.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