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금 서울 부동산 가격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는 방법

부공살 2025. 1. 13.

 

서울-부동산가격-어느정도인지-알아보는-방법

 

지금 서울의 부동산 가격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다면

 

그 방법이 어떤건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오늘은 제가 그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PIR(Price to Income Ratio)

PIR 이라고 들어보셨나요?

 

가구소득수준을 반영해 주택가격의 적정성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지수로

 

주택구매능력을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PIR이 10이라고 한다면

 

10년 동안의 소득을 한 푼도 쓰지않고 모아야

 

집 한채를 살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찾는 방법

그럼 이 PIR을 어디서 볼 수 있느냐 ?

 

 

KB부동산

KB부동산에서 KB시세, AI시세, 실거래가, 매물, 분양, 통계, 대출 경매, 커뮤니티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kbland.kr

 

 

메뉴 - 주택 가격 동향 -  KB통계 - KB자료실 - 월간주택 로 들어가서

 

월간시계열을 받아보실 수 있는데요.

 

 

여기서 우리는 PIR(월별) 자료를 볼거랍니다.

주택구매능력-PIR-자료
KB시계열 - PIR 자료 (25.1.13)

 

자료가 많아서 머리가 아프시겠지만 조금만 힘내보아요

 

우리는 서울 평균주택가격을 볼거니까 3분위,

 

서울 가구 연소득을 기준이니까 마찬가지로 3분위 값을 가져다 쓸거랍니다.

 

※ 19년 부터는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개편으로 인해 보정 값을 사용 (저는 평균 값인 1.07로 사용)

 

자료가공

다음으로는 아까 가져온 3분위 값을 통해

 

저희에게 유의미한 자료로 만들기 위해 가공을 합니다.

 

PIR만 보기에는 자료해석이 부족할 수 있으니

 

서울의 매매지수와 전세지수도 같이 붙여보겠습니다.

 

서울-매매지수-전세지수-PIR-그래프

 

자료가 존재하는 2009년 1월부터 현재(24.12)까지의 

 

서울 PIR 평균은 약 12.2 입니다.

 

가장 높았던 시기는 21년 말로  무려 20.3을 육박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가장 낮았던 시기는 8.후반대로 14년 즈음 시기였네요.

 

그렇다면 지금은 어떨까요?

 

 

현재 서울의 PIR은 10.5로 평균이었던 12.2를 생각하면

 

서울 거주민들의 연소득 대비 충분히 비싸지 않은 가격이란 걸 알 수 있습니다.

 


 

PIR 즉, 주택구매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에 대해 공부해보았는데

 

어떤가요? 서울 집 비싸다고 느껴지시나요? 아니면 적당하다고 느껴지시나요?

 

지금처럼 각종 규제와 정치이슈 등으로 어려운 위기 상황에서도

 

공부하고 손품, 발품을 팔다보면 기회는 반드시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같이 공부하며 자산을 쌓아나갔으면 좋겠습니다.

 

파이팅 😁

 

 

댓글